git 3

git log, cat-file, rebase, reset, reflog

기본 정리* 총 4가지 객체로 구성 commit, tree, blob, taggit log를 통한 커밋 이력 확인* git log --oneline --graph --all-> Mac의 find .git/objects -type f을 통해 git hash(7자리)와 .git/objects 파일 비교 가능 git cat-file을 통한 커밋 정보 확인* git cat-file -p [hash명] : tree, 작성자, 저장 시점, 커밋 메시지 등 확인 가능, hash 내용 출력(commit, tree, blob 등의 hash를 입력해서 각 hash의 타입 확인 가능) * git cat-file -p [태그명] : 태그 정보 확인 * git cat-file -t [hash명] : 타입 출력(commit, t..

Etc. 2025.07.31

[Git] 내가 자주 쓰는 명령어

현재까지 자주 쓰는 Git 명령어는 아래에 작성한 명령어 정도이고, 정리를 위해 남긴다. 최근엔 소스트리와 같은 프로그램도 잘되어있어서 많이 사용 중이다. # 초기화 $ git init # 클론 git clone https://~ # 상태 확인 $ git status # 로그 확인 $ git log # 파일 확인 $ ls $ ls -al # 로컬 저장소에서 스테이징 영역에 파일 추가 $ git add "file.txt" $ git add . # 스테이징 영역에 추가된 파일을 대상으로 repository에 커밋 $ git commit -m "commit message" # 브랜치 보기 $ git branch # 브랜치 생성 $ git branch dev # 브랜치 이동 $ git checkout dev #..

Etc. 2024.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