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Net 생성
2. VNet 내 Public Subnet, Private Subnet 생성
3. Private Subnet에서 아웃바운드 인터넷 통신을 위한 NAT Gateway 생성 후 연결
4. Private Subnet 통신용 VPN 생성 후 rootCA.cer 내용을 사이트 간 구성에 등록
5. Azure DNS Resolver 생성
6. 로컬 환경에서 Private Subnet 통신하기 위한 VPN DNS 설정(client.cer, client.key 필요)
7. Private ACR 생성
8. Private ACR에 Docker Image 업로드
9. Azure Container App 생성(VNet 통신 제한 및 외부 인터넷 금지, CORS 설정)
10. VPN을 통해 Private ACA 접근 확인
11. Azure Application Gateway를 통한 Private ACA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
12. 외부 인터넷 -> Auzre Application Gateway -> Private ACA 접근 확인
=== ACA + Private VNet 통합 외 ===
13. SQL Database, Redis.. 등 추가 인프라 환경 구축
'Infra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cker Image 생성 후 Azure Container registries에 업로드하기 (1) | 2025.07.14 |
---|---|
[Azure] MAC 환경에서 Azure CLI 로그인하기 (0) | 2025.07.13 |
[Redis] AWS ElastiCache for Redis를 활용한 데이터 캐싱 설정 (0) | 2024.04.13 |
[Infra] Container 개념 (0) | 2024.01.27 |
[AWS] 콘솔에서 S3 파일 다운로드하는 방법 (0)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