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ute table 2

[AWS] NAT Gateway를 활용한 Private EC2 인스턴스 외부 통신 설정

1. VPC 메뉴 접속2. NAT Gateway 탭 클릭3. Name 입력4. Subnet 위치 선택5. Connectivity type에서 Public 선택6. Elastic IP allocation ID    - NAT Gateway도 IP를 기반으로 통신함    - Allocate Elastic IP 버튼을 눌러 NAT Gateway에 IP를 할당해줌    - NAT Gateway에 할당되는 IP는 Elastic IP이며, 기본 5개까지 제공이되므로 주의 필요7. NAT Gateway 생성 클릭(생성까지 3-5분 소요)8. Private Subnet의 Route Table -> Routes에 7에서 생성한 NAT Gateway를 타겟으로 설정    - Private Subnet에서 외부 통신이 필요..

Infra & Network 2023.06.07

[AWS] Public & Private 인프라 설정 - VPC & Subnet & Internet gateway & Route Table

AWS VPC 탭 접속 후 아래 순서대로 진행함 1. VPC 생성* 대역 : 10.1.0.0/16 정도로 설정 -> 10.1까지는 고정 이후 255.255에 속하는 IP로 설정하겠다는 의미 2. 생성된 VPC 우클릭 -> Edit DNS hostnames 클릭 -> DNS hostnames 체크 후 저장* VPC 내 인스턴스 등이 DNS를 생성할지말지를 정하는 설정으로 허용하고 진행 3. 서브넷 설정* 서브넷 탭 클릭* 서브넷 생성 클릭* 이전에 생성한 VPC 선택* 생성한 VPC의 CIDR 블록이 표시됨(서브넷은 VPC의 CIDR 블록을 나눠서 사용할 수 있도록하는 역할)* 각 서브넷을 영역별로 생성   * 서브넷명   * 가용영역   * 서브넷 CIDR 4. 외부 인터넷과 통신할 수 있는 인터넷 게이..

Infra & Network 2023.06.05